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Iearning 시대의 매체와 방법의 의미 재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0.11
24P 미리보기
e-Iearning 시대의 매체와 방법의 의미 재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16권 / 4호
    · 저자명 : 한정선

    목차

    I. e-Learning 시대 과연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
    II. 14년 간의 논쟁
    Ill. 논쟁의 요약
    IV.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21세기는 “e-시대”로 시작을 하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e-commerce, e-business, e-solutions, e-Learning 등, 근래에 들어 접두어 "e"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러한 “e-와 동반되는 용어가 바로 웹(web)과 넷(net)이다. 이 웹과 넷을 통해 많은 사랑들이 빠르고, 싸고, 쉽게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정보를 검색, 교환하게 되었으며, 이 웹과 넷을 이용하여 교육에서도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e-learning이란 과연 교수(instruction)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학습 효과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것인가? 연구 결과가 기대나 가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 것언가?Clark(1983)은 “매체는 교수를 전달하는 수만에 불과하며, 학습 성취애는 영향을 주지못한다”고 주장하였다. Clark에 의하면 학습에 영향올 주는 것은 바로 “내용” 매체에 담겨진 “내용”과 “방법”이다. 따라서 교수-학습시 매체 사용은 학습의 효과성보다는 비용과 전달 범위에서 우세하다는 것이다. 한펀 Kozma는 “매체와 방법은 셔로 필요 불가결한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매체와 방법 모두 학습에 영향을 주며 매체와 방법이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덧붙인다.Clark은 분명 교육공학에 종사하는 사랍이나 연구자들에게 간과할 수 없는 문제를 제기 하였다. Clark이 논문을 발표 한 후 14년 간 “매체와 방법”에 관한 지상 논쟁은 여러 사람에 의해 계속되어 왔지만 결국은 Clark과 Kozma의 대결로 귀결된다. 교육공학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서는 Clark의 주장을 하나의 주장으로, 경고로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Kozma의 주장올 실현 및 구현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라라 생각되며, 그렇게 되기 위하여서는 심도있는 연구가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1983, Richard Qark evoke:! considerable controversy in the e:!ucational technologyfield with the publication of his article,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ia."Oark challenged that media are delivery vehicles for instruction and do not directly influencelearning. He aloo mentioned that me:!ia comparioon studies, regardless of the mediaemployed, tend to result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ere is evidence that itis the method of instruction that leads more directly and powerfully to learning. Therefore,we should study "attributes" of media and their influence on the way that information isprocessed in learning. In the ensuing years, 1his 􀂒ue has remained highly provocative anda exmtinual subject of demte. Several positions presented in the past 14 years on mediaand learning show bo1h increased oophistication in the debate on me::lia influences and diversityin points of view. However, it roils down to the two majlr debaters: Oark andK01lTla. Robert Kozma, in his refute to Clark, state::l that capabilities of a particular medium,in conjunction with methods that take advantage of these capabilities, interact with andinfluence the ways learners represent and process information and may result in a more ordifferent learning when one medium is compared to another for certain learners and tasks.Clark argue::l that method is different from me::lium while Kozma insiste::l that the separationof me::lia from method creates an urmecessa.ry and undesirable schism between thetwo. Media and method should have a more integral relationship. Both are part of the instructionaldesign.My position as a researcher of the del:ate on influences of me::lia is not one of yes orno, but rather taking Clark's view as a "stop" sign in adopting a new medium in an educationalsetting. He made us stop and think before we move to employ a new medium.Why are we going to use this new medium? Is there any other medium that can bring thesame result or effect? What do we expect from this new medium? On the basis of thesefundamental questions in our mind, we can plan,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 new medium in our edu::ational oolting with efficiency and effim.cy. Komt.a's view will cer1ainLycontribute in the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Ko:i'IIlli is saying that media comprise aseparate independent variable that can 00 found to profoundly influence learning. And, ifthe media are well controlled and/or employed, they can result in improved learning overconventional fonTIS of cla$room te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