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사회복지시설평가 결과에 대한 피평가시설의 도구적 활용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9.1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2권 / 1호
저자명 : 윤재영, 이종환

목차

Ⅰ. 서 론
Ⅱ. 메타평가와 평가결과 활용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요약과 함의

한국어 초록

중앙정부에 의해 수행되어온 사회복지시설 평가는 피평가자의 평가결과 활용도가 낮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형성적 메타평가(formative meta-evaluation)의 성격을 띠고 사회복지시설평가의 도구적 활용(instrumental us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3기(2005∼2007년) 사회복지시설평가에 참여하였던 1,269개 사회복지시설(486개소, 38.30% 회수) 평가담당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Factior Analysis와 Reliability Analysis로 지표를 검토한 후, 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One-way ANOVA와 Kruskal-Wallis T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평가결과의 도구적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복지시설평가의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으로 나누어 확인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사회복지시설평가의 수요자 측면에서 시설의 유형, 지역성, 운영기간, 그리고 평가 등급 등의 특성에 따라 평가결과의 도구적 활용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급자 측면의 요인인 현장평가자의 자질, 지표개발 및 평가수행 과정, 그리고 현장평가 시기와 시간 등도 평가결과의 내부 고객에 대한 활용과 외부 고객에 대한 활용 모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엇보다도, 공급자 측면의 요인 중 지표개발 및 평가수행 절차는 평가 수요자들로부터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영역이며 동시에 피평가시설의 대내·외 고객에 대한 활용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기에, 향후 사회복지시설평가의 가장 중요한 개선 과제라 하겠다.

영어 초록

The use of the centr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CGSWFE) remain limited. This study examined the instrumental use of the central government evaluation results among the evaluands. Specifically, this formative meta-evaluation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instrumental use of evaluation res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6 facilities which were evaluated between 2005 and 2007 in the third period of CGSWFE. It was found that instrumental utilization degre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luands(the demand side factors such as type of facility, locality, length of operation, and evaluation grade) and was affected by the supply side factors such as qualification of graders, evaluation procedure, and timeliness of on-site evalu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evaluand's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evaluation scales is considered to enhance the instrumental use of the evaluation information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evaluation services. Key words : Centr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Formative Meta-evalu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사회복지시설평가 결과에 대한 피평가시설의 도구적 활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