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해외입양인의 사후관리 서비스에 관한 조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5.0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수록지정보 : 임상사회사업연구 / 2권 / 2호
저자명 : 이미선

목차

1.문제 제기
2.이론적 배경
3.연구방법
4.연구결과 분석
5.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입양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후관리 서비스(입양 후 서비스라는 뜻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관한 해외 입양인 및 양부모의 경험과 욕구에 대한 조사이다. 해외입양에서 사후관리서비스는 아주 중요하게 인식되어가고 있으며, 해외입양의 지속여부와는 상관없이 입양인을 위해 앞으로도 계속 제공되어질 서비스이다. 따라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의 주요 수혜자인 입양인과 양부모의 경험을 알아보고, 또 그들이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서 앞으로 발전된 서비스를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기위한 목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질문들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입양인과 양부모의 절반 정도는 한국의 입양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후관리 서비스의 내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입양기관에서 모국방문 서비스, 모국어 연수, 친가족 찾기, 출생배경 정보 찾기, 서신교환 및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입양인과 양부모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입양인이 처음 사후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로 서비스 욕구가 다르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기로는 친가족을 찾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또한 모국방문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방문 동기는 한국문화와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입양기관에서 사후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은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낮게 응답한 입양인들도 적지 않았다. 또한 서비스 내용들도 좀 더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는데, 특히 상담 서비스에 대해서 가장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입양인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한 서비스는 친가족찾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방문, 한국 문화 경험, 한국어 교육 등이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들이지만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것처럼 입양인들이나 양부모가 이제는 보다 질적으로 충실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는사실을 알 수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is to know Korean overseas adopted person’s idea &needs about post adoption service which is ongoing by Korean agency. What is their need for the post adoption, how much they satisfy about present post adoption service which is provided by Korean adoption agency. Post adoption service is a very important to help the adopted person’s psycho-social adjustment and their well-being. But present services are tend to simplified without consider adopted person’s age, private condition and special need. So, this research is carried with a very simple and clear questions. We found their need and idea, and it will be used a basic data to develop post adoption service.
Adopted persons who received the post adoption service by Korean adoption agency are satisfied generally with agency's service. But, some of them, 24(27.3%) & 6(6.8%) adopted persons, are not satisfied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gency). Many adopted persons didn't satisfied with the psychological counsel program by Korean agency. We found many adopted persons and adoptive parents don't know well about post adoption service program by Korean adoption agency. Most adopted person and adoptive parents think those services need to improve. It means more good quality and intensive programs are requested in the post adoption service.
From this result, it is said that post adoption service is need to diverse by age group and service programs are need tuning by each their need. For example, Korea culture camp is a very good program for the teens and non-experienced persons. But, for the twenties or thirties group, a kind of ‘search camp’ can be more helpful to understand Korea culture and then to process their search. The main need of adopted person and big part of post adoption service is search for the birth family. Search is not only to know and meet the birth family. It is a journey to find self and reassemble work of their life story. So, there are clear steps and confusion period, and pause time as the case may be. Hopeful service programs include these various stations, and adoption agency should develop more qualitatively post adoption service program.

Keywords: post adoption service, adopted person, search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해외입양인의 사후관리 서비스에 관한 조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