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부재료 첨가에 따른 데미글라스소스의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

*지*
최초 등록일
2014.10.26
최종 저작일
2010.10
3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시료 제조
2. 실험 방법
3. 관능적 특성 평가

Ⅲ. 결과 및 고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소스는 음식의 색을 아름답게 하거나, 음식의 재료가 서로 엉기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음식의 맛과 향을 가미해 식욕을 증진시키거나, 식품에 수분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감촉을 더해주며, 여러 가지 재료를 첨가함에 따라 영양가를 높여주고, 소화 작용을 도와주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식품 성분이다.
소스의 근본 역할은 요리에 풍미를 더해주는 데 있으므로 요리의 생명은 바로 소스 맛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데미글라스 소스는 16~17세기경 조리에 루(roux)가 도입되어 갈색으로 구운 육류로부터 대량의 육즙을 추출하는 조리방법이 개발된 이후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 스테이크, 스튜 등 육류 및 가금류 요리에 널리 사용되어 온 갈색 계통의 기본 모체 소스로서 적갈색의 소스를 말한다.
서양 요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소스 중의 하나인 데미글라스 소스에 다양한 기능성을 강조한 연구로는 송이버섯과 양송이 분말을 첨가한 데미글라스 소스의 품질 특성, 소금 첨가량에 따른 바질 데미글라스 소스의 관능평가 분석, 오미자첨가량에 따른 데미글라스 소스의 총산과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적 특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가공된 데미글라스 소스의 개발 요구도는 날로 증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데미글라스 소스에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버섯을 첨가하여 맛뿐만 아니라 영양 성분 및 약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버섯을 첨가함으로써 맛과 기능성을 더한 한층 고급스런 데미글라스에 대한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맛을 증대하고 또한 기능성을 높인 소스를 개발함으로써 버섯의 기능성 연구 및 버섯 첨가 데미글라스 소스의 상품화로 새로운 음식 개발 및 연구의 확대와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버섯은 예전부터 식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단백질, 당질, 무기질, 각종 아미노산 및 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과 더불어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자연 식품, 저칼로리 식품, 무공해 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균 작용, 당뇨나 고혈압의 예방 및 치유 효과 등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도 점차 높아가고 있다. 특히 버섯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겨지는 송이버섯은 고가의 자연 식품으로서 칼슘과 철분 등의 많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영양 식품으로 맛, 향기, 식감 등이 다른 버섯보다 훨씬 뛰어나 많은 사람의 기호에 적합한 버섯으로 앞으로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참고 자료

김광옥.김상숙.성내경.이영춘(1993) :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96, 344, 서울.
Choi EY ・Joo NM (2005) : Optimization of homemade pasta with addition of bas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ulture 20(1):61-67.
구경형․ 박완수 ․ 이명기 ․ 김민지 ․ 조명희(2002) : 저장송이 버섯을 이용한 가공 제품 개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3-7.
서정숙․ 서광희․ 이승교․ 정현숙 (2003) : 기초영양학. 지구문화사, 서울, 152-154
식물환경연구소 (1972) : 산림 및 식용버섯 재배에 관한 시험. 시험연구보고, 346-369.
식품공업협회 (2004) : 식품공전, 문여사, 서울, 380-401.
AOAC (1990) : Officiap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o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lington, D.C. USA.
Hotel Lotte Pusan Company (1997) : The cooking manuals. Moongak Publishing Co. 98, Pusan.
Choi SK. A Theory and the Facts of Sauce. p41, Hyungseul Publishing Co, Seoul, 1997.
Han MK. The Food Science of the newest. p96, Hyungseul Publishing Co, Seoul, 1997.
Han CW (2005) : Preparation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and its characteristics. Joongbu University M.A. thesis.
Yim SB ․ Kim MO ․ Koo SJ (1991) :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Korean J Soc Food Sci 7:69-76.
Cho DK ․ Lee KJ ․ Han SH (1999) :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leven major sites in Korea. J Korean For Soc 88(4) : 490-497.
Cho YB ․ Park WP ․ Jung EJ ․ Lee MJ ․ Lee YB (2002) :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kimchi-flavored steak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3): 351-355.
Han CW (2005) : Preparation of Lentinus edodes Brown sauce and its characteristics. Joongbu University M.A. thesis.
Yim SB ․ Kim MO ․ Koo SJ (1991) :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Korean J Soc Food Sci 7:69-76.
Choi SK (2001)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prepared by different methods. Ph.D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부재료 첨가에 따른 데미글라스소스의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