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국제질서의 세력변이 구도 연구

*두*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5.25
최종 저작일
2014.05
2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검토
1. 오르간스키의 세력전이이론
2. 케네스 왈츠의 국제정치 분석 : 3가지 이미지

Ⅲ. 미국의 세력변화
1. 개관
2. 첫 번째 이미지 - 개인 : 버락 오바마 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 비교
3. 두 번째 이미지 - 국가 : 패권국으로서의 영향력 감소
4. 세 번째 이미지 - 국제체제 : 상호의존적 체제

Ⅳ. 러시아의 세력변화
1. 개관
2. 첫 번째 이미지 - 개인 : 푸틴과 스탈린
3. 두 번째 이미지 - 국가 : 미국을 견제할 수 있을 정도의 경제력

Ⅴ. 중국의 세력변화
1. 개관
2. 두 번째 이미지 : - 국가 : 눈부신 경제 성장
3. 세 번째 이미지 : - 국제체제 : 국제적 영향력과 소프트 파워

Ⅵ. 유럽연합의 세력변화
1. 개관
2. 유럽연합이 하나의 극(polar)을 형성할 가능성

Ⅶ. 결론

본문내용

국제질서의 변화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극(polar)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국제정치의 세력구도 정의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의 유럽대륙에서 다극체제로 출발한다. 1648년에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Peace of Westfalen)은 주권 국가들의 공동체인 근대 유럽의 정치구조가 나타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프랑스, 오스트리아, 프러시아, 영국 등 유럽대륙의 주요 국가들은 제각기 권력의 강화와 약화를 겪음으로써 세력의 균형을 이루었고 그들이 형성한 근대 유럽의 정치구조를 다극체제(multi-polar system)라고 부를 수 있다.

그 뒤,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을 겪은 이후 미국과 러시아가 급부상하게 된다. 유럽대륙을 중심으로 형성되어져 있던 다극체제의 국제세력 배분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대륙을 떠나 전 지구적으로 소련과 미국이 대립하는 양극체제(bi-polar system)로 이어진다. 이 두 국가는 서로를 견제하면서 세계를 비교적 민주적이고 평화적으로 조정해왔다. 일부 지역에서 마찰이 있었지만 두 국가는 직접적으로 서로 전쟁을 일으키지는 않았다. 하지만 베를린 장벽 붕괴를 전후로 이러한 관계는 소련의 붕괴로 인해서 무너진다. 모스크바에서 쿠데타 시도가 일어난 뒤 소련 공산당은 급격히 위축되었으며, 그 권력과 특권도 붕괴되었다. 양극체제의 한 극을 구성하던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하자 미국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존속하게 되었다. 이는 미국이 지구의 운명을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게끔 하였다. 그 결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단극체제(uni-polar system)가 2001년을 기점으로 급속도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한 이후 미국의 단극체제가 어느 정도 지속되어왔으나 최근에 미국의 영향력이 약화하고 있는 모습이 많이 보이는 추세이다. 이와 동시에 중국이 미국을 위협할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어 G2, 즉 새로운 양극체제가 올 것을 예상하는 학자들이 있다. 한편으로는 미국과 중국에 러시아 등 다른 국가들이 추가되어 유럽 대륙에 나타난 다극체제와 유사한 세력구도가 전 지구적으로 다시 한 번 재현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참고 자료

이근욱. 2011.『왈츠 이후-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서울: 한울아카데미.
Kenneth N. Waltz. 1959.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Diniel L. Byman and Kenneth M. Pollack. 2001. "Let Us Now Praise Great Men: Bringing the Statesman Back In," International Security, Vol. 25, No. 4, Spring.
그래엄 앨리슨. 2005.『결정의 엣센스』. 김태현 역. 서울: 모음북스.
얀 멜리센. 2008.『신 공공외교』. 박종일·박선영 역. 고양 : 인간사랑.
김용구. 2010『세계외교사』.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오기평. 2007.『세계외교사-세기를 넘기면서』. 서울: 박영사.
박재영. 2013.『국제정치의 패러다임』. 고양: 법문사.
조지프 나이. 2011.『국제분쟁의 이해』.양준희·이종삼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김우상. 2002. “세력전이와 동아시아 안보질서에 관한 경험적 연구.” 서울 : 연세대학교
정 운, 2004. “강대국간 세력전이 전쟁의 억제요인.” 서울 : 연세대학교
새뮤얼 헌팅턴. 1997.『문명의 충돌』. 이희재 역. 파주: 김영사.
마이클 우드·피터 퍼타도. 2009.『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박누리·김희진 역. 파주: 마로니에 북스.
청차오저. 2005. 『중국경제성장의 비밀』.최윤정·김준봉 역. 서울: 지상사.
송병준. 2013.『유럽 연합의 거버넌스와 공동정책』. 서울: 높이깊이.
Fareed Zakaria. 1994. "Culture is Destiny : A Conversation with Lee Kuan Yew". Foreign Affairs.
에드워드 카. 2009. 『역사란 무엇인가?』. 지교철 역. 서울: 아름다운 날.
A. F. Kenneth Organski. 1958. 『World Politics』U.S.A: The University of Michigan.
*두*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국제질서의 세력변이 구도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