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알코올해독 누에번데기

*석*
최초 등록일
2011.12.13
최종 저작일
2011.12
3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졸업논문및 논문

목차

서 론 ………………………………………………………… 1

본 론 ………………………………………………………… 2

I. 누에 번데기 물질 ………………………………………………
1. 누에 번데기 추출물 제조 ……………………………………
2. 누에 추출물의 아미노산 분석 ………………………………
가.누에 번데기의 아미노산 조성 …………………………
3. 누에기름의 가수분해 및 메틸화 반응 ……………………
가.누에 기름의 지방산 조성 ………………………………
4. 지방산의 HPLC 분리 및 구조 규명 ………………………
5. 지방산 혼합물의 GC-MS 분석 ………………………………
6. 누에 추출물로 부터 플라본과 비타민B2의 분리 ………
7. 나이별 누에추출물의 지방 및 아미노산 분석 …………
II.누에 번데기 생활사 ……………………………………………
III.누에 번데기의 연구 분야 ……………………………………
Ⅳ.누에 번데기 추출물의 알코올 해독성 ………………………
1.음주와 건강 …………………………………………………
2.ALCOHOL METABOLISM ………………………………………
가.ADH와 NAD⁺에 의한 Ethanol oxidation ………………
나.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
다.NADPH oxidase와 catalase에 의한 공동 반응 ………
라.Xanthine oxidase와 catalase에 의한 공동 반응 …
Ⅴ. 알코올이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
Ⅵ. 항산화와 질병예방……………………………………………
1.Free Radical의 정의 ………………………………………
2.Free Radical의 생성 요인 ………………………………
3.항산화계에 미치는 여러 효소들 …………………………

Ⅶ. 누에 추출물에 대한 알코올 해독작용 연구 ……………
1. 실험방법 ……………………………………………………
가. 시료의 추출 …………………………………………
나. 급성 알코올 유도 실험 ……………………………
다. In vivo에서 간의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측정 …
Ⅷ.결과 및 고찰 ………………………………………………
1.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측정
2.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측정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서 론

누에번데기는 최근에 분말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강정제 뿐만 아니라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 치료 및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도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천연물로서의 누에의 안전성과 임상적 효능은 익히 알려져 있으나 그 활성 기작은 아직까지 확실치 않다. 천연물로서의 누에번데기는 부작용이 적고 다양한 성인병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서의 효능이 계속적으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약품 및 화장품 개발에 직접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누에번데기로부터 유용한 물질 성분을 분리하고 그 성분을 화학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다 누에추출물에는 bombykol이라는 hydroxyhexadecadiene 물질이 알려져 있으며, insulin 유사 펩타이드인 bombyxin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단백질 호르몬도 알려져 있다. 머리부분에서 유리 nucleotide가 다량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뽕나무에는 없는 quercetin glycoside도 보고되고 있다. 한편 nitric oxide 생성의 기질로 사용되는 arginine의 함량이 높아서 정력증강의 효능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누에 제품에서 이런 물질들의 함량 분석이나 그 외의 다른 물질들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져 있지 않아, 효능을 입증할 분자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누에추출물의 성분물질 의 순수 분리 및 그들의 화학구조 규명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이런 물질들이 나타낼 수 있는 여러 가지 효능(항산화, 미용, 노화방지 등)을 바탕으로 한 용도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번데기로부터 분리한 성분들(기름, 플라본, 비타민 B2, 아미노산)을 보고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Pereira N. R., Ferrarese-Filho O., Matsushita M., Souza N. E., `Proximate composition and fatty acid profile of Bombyx mori L. chrysalis toast.`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003, 16, 451-457.
Satake S., Masumura M., Ishizaki H., Nagata K., Kataoka H., Suzuki A., Mizoguchi A., `Bombyxin, an Insulin-Related Peptide of Insects, Reduces the Major Storage Carbohydrat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Comp. Biochem. Physiol., 1997, 118B(2), 349-357.
Kim H.-J., Lee W.-H., Yoon C.-H., Jeong J.-C., Nam K.-S., Kim H.-M., Choo Y.-K., Lee M.-C., Kim C.-H., `Bombycis corpus Extract prevents Amyloid-β-Induced Cytotoxicity and Protects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Cultured Rat Astrocytes.` Pharmacological Research, 2001, 43(1), 11-16.
Satake S., Nagata K., Kataoka H., Mizoguchi A., `Bombyxin secretion in the adult silkmoth Bombyx mori: sex-specificity and its correlation with metabolism.` Journal of Insect Physiology, 1999, 45, 939-945.
Tamura Y., Nakajima K., Nagayasu K., Takabayashi C., `Flavonoid 5-glucosides from the cocoon shell of the silkworm, Bombyx mori.` Phytochemistry, 2002, 59, 275-278.
Itoh M. T., Hattori A., Nomura T., Sumi Y., Suzuki T., `Melatonin and arylalkylamine N-acetyltransferase activity in the silkworm, Bombyx mori.`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1995, 115, 59-64.
Yang J., Kimura M., Kuwano E., Suzuki K., `Isolation of L(+)-Methionine Sulfoxide Related to Diapause Induction in the silkworm, Bombyx mori.` Insect Biochem. Molec. Biol., 1995, 25(9), 975-980.
Wu C., Yamashita T., Taira H., Suzuki K., `Free Nucleotide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Diapause in the Silkworm, Bombyx mori.` J. Insect Physiol., 1996, 42(5), 441-447.
Kurioka A., Yamazaki M.,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Yellow Green Cocoon Shell (Sasamayu) of the Silkworm, Bombyx mori.`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2, 66(6), 1396-1399.
Hemmi H., Ishibashi J., Hara S., Yamakawa M., `Solution structure of moricin, an antibacterial peptide, isolated from the silkworm Bombyx mori.` FEBS Letters, 2002, 518, 33-38.
Miura K., Kamimura M., Aizawa T., Kiuchi M., Hayakawa Y., Mizuguchi M., Kawano K., `Solution structure of paralytic peptide of silkworm, Bombyx mori.` Peptides, 2002, 23, 2111-2116.
Shiomi K., Sato Y., Imai K., Yamashita O., `A Hydrophobic Peptide (VAP-peptid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Structure, Expression and an Enhancing Function of Diapause Hormone Activity.` Insect Biochem. Molec. Biol., 1998, 28(2), 75-82.
다카스 도시아키., 술과 건강, 전파과학사 (1992)
최영선, 정경희, 조성희., 알콜과 식이지방량이 흰쥐의 성장, 간기능 및 혈액의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6), pp. 432-441 (1987)
김진택, 김동환, 안상현., 장기 알콜투여가 생쥐의 간 및 신장, 위장 조직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제 3 권: pp. 163-169 (1994)
최옥희, 윤혜진, 김정희., 만성 알콜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 간 Cytochrome P-450 및 Glutathione 이용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6), pp. 859-886 (1995)
류선영, 김정희., 만성 알콜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 간 미토콘드리아 ATPase 활성도과 막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6), pp. 867-873 (1995)
김성연, 김상겸, 강경애, 김영철., 급성적인 알콜성 지방간 생성에서 Cytochrome P-450 2E1의 역할에 관한 연구, J.FdHyg.Safety.,11(4),pp.291-297(1996)
Heikkonen E, Ylikeahri R and Roine R., The combined effect of alcohol and physical exercise on serum testosterone, luteinizing hormone, and cortisol in males, Alcoholism:ClinicalandExperimentalresearch.,20(4),pp.711-716(1996)
Burton M, Altura and Bella T. Altura., Association of alcohol in brain injury, headaches, and stroke with brain-tissue and serum levels of inoized magnesium, A review of recent findings and mechanisms of action: pp. 119-130 (1999)
Gortari and Joseph-Bravo.,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induces changes in TRH and proenkephalin expression in hypothalamic and limbic regions of rat brain. NeurochemistyInternational.,37,pp.483-496(2000)
Hwang Ja Yeong , Ham Jae Ung, Nam Seong Hui, Physiological Activity/Nutrition .,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한국식품과학회지., 36(2), pp. 329-333
박종철 , 이종호 , 최종원., 미나리 추출물이 알콜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 및 활성성분,한국식품영양과학회, 96년도 추계 학술대회, Vol.0, No.0, pp95
정정철 , 이주영 , 김미정 , 정진호., 알로에 추출물이 알콜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1(1), pp. 31
Lieber CS, Milestones in liver disease, JournalofHepatology40,pp.198-202(2004)
Thomas M. Badger, Martin J.J. Ronis, Helmut K. Seitz, Emanulele Albano, Magnus Ingelman-Sundberg, and Charles S. Lieber., Alcohol metabolism:Roles in toxicity and carcinogenesis, Alcoholism:ClinicalandExperimentalResearch,27(2),(2003)
Roach MK, Rease Jr WN, Creaven PJ., Ethanol oxidation in the microsomal fraction of rat liver. BiochemBiophysResCommun.,36.:pp.596-602(1969)
Tephly TR, Tinelli F, Watkins WD., Alcohol metabolism: role of microsomal oxidation in vivo. Science.,166,pp.627-628.(1969)
Clot P. Bellomo G, Tabone M, Arico S. Albino E.,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proteins modified by hydroxyl free radicals in patients with alcoholic cirrosis. Gastroenterology.,108.pp.201-207(1995)
Plinski W, Witztum JL., Immune response to oxidative neoepitopes on LDL and phospholipids modulate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JInternMed.,247, pp. 171-180 (2000)
Joye K. willcox, Sarha L. ASH, George L., Catilgnani,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icalRieviewsinFoodScienceandNutrition.,44,pp275-295(2004)
이순재, 김미지, 윤연희., 한국산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음료의 중금속 제거 및 해독작용, 식품과학과산업., 28(4), pp. 17-28 (1995)
Jen-Ken Lin, I-Ming Juan and Ying-Ling Chen., Biochemical studies on the anti-carcinogenesis of tea polyphenols, FoodscienceandIndustry.,28(4),pp.29-32(1995)
Jen-Ken Lin, Yu-Chin Liang, Shoei-Yn and Lin-Shiau., Cancer chemoprevention by tea polyphenols through mitotic signal transduction blockade, BiochemicalPhamacoloby.,58,pp.911-915(1999)
김구현: 병을 낫게하는 한방차, 한방술, 한국 메디칼 인덱스사, 18 (1994)
식품과학과 산업9월호 2003"누에및 양잠산물의 기능성연구"류가성 박사외 5인
`동충하초의 힘` 조세연지상덕남성희방진
Lebsaek, M. E., Peterson. D. R. and Collus. A. C., preferential inhibition of the low Km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by pargyline. Biochem. Pharmac. (26) pp. 1151-1154 (1976)
Kuk Hyun Shin, Yong Nam Han, Ha Sook Chung, Soon Sung Lim, Sang Hyun Lee and Chang Sub Shin.,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of Aloe spp. on alcohol metabolism., Kor.J.Pharmacogn.29(2)pp.120-124(1998)
Lowry. O. H., Fosebrough. N. J., Farr. A. L. and Fandall. R. L.,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Biol.Chem.193:pp.265-276(1957)
Ronald P. C., Jeffrey K. S.., Applied Statics and the Programing Language (199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석*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워드파일 누에 번데기 추출물의 알코올 해독성 논문 2 31페이지
    본 실험의 목적은 누에추출물에 대한 알코올 해독작용을 밝히기 위해 알코올을 ... 익은 누에는 2-3일 정도에 걸쳐서 누에고치를 짓고, 그 속에 들어가 번데기로 ... 그리고 수컷 누에 번데기의 성분에서 남성의 발기 촉진 성분의 하나로 알려진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알코올해독 누에번데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